코로나19 팩트체크입니다. <br /> <br />많은 사람의 손을 거치는 돈을 통해서도 코로나19에 감염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돈 소독까지 이뤄지고 있죠. <br /> <br />지폐 혹은 신용카드 사용으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는지 확인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이정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5만 원권과 만 원권 수십 장이 불에 탔습니다. <br /> <br />지폐를 전자레인지에 넣어 소독해 쓰려다 홀로그램에 불이 붙어 벌어진 일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1. 지폐에서도 코로나19 생존? <br /> <br />코로나19 바이러스가 무생물에서도 생존하는 건 이미 알려진 사실입니다. <br /> <br />독일 연구진은 코로나19가 무생물 표면에서 최소 2시간, 최대 9일까지 전염성을 유지한다는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폐도 예외는 아닙니다. <br /> <br />감염자의 침방울이 묻은 지폐를 건네받은 손으로 호흡기를 만졌다면 감염될 수는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그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게 세계보건기구의 설명이고, 지폐를 통한 바이러스 감염이 공식 보고된 적도 없다는 점에서 막연한 공포심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2. 지폐보다 신용카드가 더 위험? <br /> <br />우리나라 지폐는 옷과 같은 면 재질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와 비슷한 계열인 사스 연구 결과를 보면, 코로나바이러스는 면 표면에선 최대 24시간 살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카드와 같은 플라스틱 표면에선 최대 72시간까지 생존한다는 점에서, 지폐보다 카드가 감염에 더 취약한 것은 사실입니다. <br /> <br />[정복용 / 한국은행 발권기획팀장 :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에는 은행권 등 다공성 재질보다 신용카드, 주화 등 비다공성 재질에서 더 오래 생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다만, 표면이 매끄러운 플라스틱 재질은 에탄올로 닦아 소독할 수 있는 반면, 면 재질의 지폐는 개인이 소독하기에 한계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이근화 / 한양대 의대 미생물학 교수 : (면은) 흡수할 수 있잖아요. 소독력이 떨어지겠죠. 플라스틱은 흡수하진 않으니까 에탄올로 닦아주면 될 것 같긴 해요.] <br /> <br /> <br />3. 150도 고열엔 바이러스 파괴? <br /> <br />한국은행은 돌아온 지폐를 2주 동안 격리하고 150도 이상 고열에 소독해 내보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정도 고열이라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외막이 파괴돼 감염성은 사라진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지폐는 은행을 나와서도 여러 사람 손을 거친다는 점에서, 만지고 나면 손을 씻는 게 확실한 예방법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정미[smiling37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31505285953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